목록분류 전체보기 (57)
SW 공부노트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다보면 Android Jetpack과 AAC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자주 사용하던 라이브러리들이 Jetpack과 AAC라며 소개가 되어 있었는데,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어떤 종류들이 있는지 궁금해져 정리해보았다. 또한, MVVM을 AAC를 통해 어떻게 구현하는 지 알아보았다. Android Jetpack Android Jetpack이란 구글에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모음으로 좀 더 효율적이고 질 좋은 개발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Android Jetpack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Architecture UI Foundation Behavior AAC AAC(Android Architecture Componenet)는 Jetpack에서 Architecture에 ..

https://developer.android.com/courses/pathways/android-basics-kotlin-unit-6-pathway-1?hl=ko WorkManager를 사용한 작업 예약 | Android Basics in Kotlin - WorkManager - Schedule tasks | Android Developers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의 현재 실행 여부와 관계없이 실행해야 하는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하는 API인 WorkManager를 사용하는 경우와 방법을 알아봅니다. developer.android.com 이 글은 위 과정을 공부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WorkManager 다음은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WorkManager 클래스이다. Worker: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자..

MVC 패턴 Model + View + Controller로 이루어져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턴인 만큼 가장 단순하고,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Model: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 View: UI(Activity, Fragment) Controller: 사용자의 입력(Action)을 받고 처리하는 부분 동작 과정 MVC는 위 그림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Controller에서 사용자 입력(Action)을 받는다. Controller에서 받은 Action을 확인해 Model을 업데이트한다. Controller에서 해당 Data를 보여줄 View를 선택한다. View는 Model을 사용해 화면에 보여준다. 3단계에서 Controller는 View를 선택만 하고 업..

https://developer.android.com/courses/android-basics-kotlin/unit-5?hl=ko Kotlin으로 배우는 Android Kotlin 기본사항 | Kotlin으로 배우는 Android 기본사항 - 데이터 지속성 | 원활하고 일관된 사용자 환경을 위해 필수 네트워크나 프로세스가 중단되는 경우에도 앱이 계속 작동하도록 합니다. developer.android.com 해당 글은 위 사이트의 PATHWAY 2 과정인 Use Room for data persistence를 공부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앱에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공부합니다. Room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 변경사항을 읽고쓴 뒤 Preference Datastore을 사용해 앱에 사..